Wiki(m)pedia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Wiki(m)pedia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21)
    • 2020심은 나무 (0)
    • 2019 목차들 (0)
    • 케이스 스터디 (175)
    • 다이어트건강 (0)
    • fashion... (0)
    • 가. 개인일지 (26)
      • 가.1 이사준비 (0)
      • sg 준비 (0)
      • 여행 팁 정리 (10)
    • Book (0)
    • 나. 업무 (3)
      • 나.1 회사에 대한 이해 (0)
      • 나.2 외부뉴스 (3)
      • 나.3 offering (0)
      • 3.5. Forum (0)
    • 다. 일단 정보수집 (4)
    • 라. 커뮤니케이션 (0)
    • 라.1 커뮤니케이션연습 (0)
    • 마. 인사이트 (1)
    • 바. 기상 (10)
      • 바.1 순수이론 (1)
      • 바.2. 좁게보기 (0)
      • 바.2. 넓게 보기 (8)
      • 바.3 전통 수치예보 (0)
      • 바.4 인공지능 (1)
      • 바.5 기후 (0)
      • 바.6 원격 (0)
    • 후순위로 밀려난 others (0)
    • 백업용도 (0)

검색 레이어

Wiki(m)pedia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바. 기상

  • Cloud reporting (구름 보고) SKC, CLR, NSC 서로 어떻게 달라?

    2017.12.01 by 침대 맡 노트

  • CAVOK, NSC, NSW

    2017.11.02 by 침대 맡 노트

  • 날씨예보와 수열은 닮아있다고 생각했다. 만약 인공지능이 수열을 풀어준다면?

    2017.08.30 by 침대 맡 노트

  • 비행 중 난기류: 예측할 수 없는 것을 예측한다

    2017.07.31 by 침대 맡 노트

  • 왜 일기예보는 자주 틀리는가? (Why weather forecasts are so often wrong)

    2017.05.13 by 침대 맡 노트

  • 기상청이 날씨터치 서비스를 시작했다. 날씨콘텐츠는 앞으로 어느 방향으로 가는게 좋을까?

    2017.04.25 by 침대 맡 노트

  • 내 위치의 기상실황을 실시간 확인한다? 더 나아가 초단기 예보를 제공하는 건 어떨까?

    2017.04.20 by 침대 맡 노트

  • 제주공항의 윈드시어 경보와 LLWAS 저층바람시어장치 (Low level Windshear Alert System)

    2017.04.05 by 침대 맡 노트

Cloud reporting (구름 보고) SKC, CLR, NSC 서로 어떻게 달라?

Abbreviation Meaning SKC No Cloud/Sky clear전 세계적으로 사용 중미국에선 주로 사람이 관측하는 지역에서 사용 CLR No cloud below 12000ft (US) or 25000ft(Canada) 미국에서 주로 사용됨대게 자동관측되는 지역에서 사용됨 NSC No significant cloud (none below 5000ft and no TCU or CB미국에서는 사용 안됨 Sources: https://en.wikipedia.org/wiki/METAR

바. 기상/바.2. 넓게 보기 2017. 12. 1. 16:00

CAVOK, NSC, NSW

간단하게 써보자. 1. CAVOKceiling and visibility OKThere are no clouds below 5000 feet or Minimum sector altitude (whichever is higher)잠깐만! MSA가 뭐야? 항공기는 공항에 내리고 공항에 대한 관측은 메다로 측정된다. 그러니 메다가 기상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공항시설적 관점에서 보는게 필요하다. 공항에 설치된 radio aid를 중심으로 25NM 내의 범위에서, 지역 내 모든 시설물들로부터 최소 1000피트 이상 수직적으로 확보될 수 있는 고도를 msa라고 한다. 구름 운저가 어디에 걸리든 최소한 msa 이 것보다는 높아야 하지 않겠어? visibility is at least 아시아권에서는 10km 이상 (TA..

바. 기상/바.2. 넓게 보기 2017. 11. 2. 16:38

날씨예보와 수열은 닮아있다고 생각했다. 만약 인공지능이 수열을 풀어준다면?

오늘은 오전 근무라 새벽5시에 집을 나섰다. 선선한 공기가 서늘하게 느껴졌다. 온도를 보니 영상 18도였다. 얼마전 지나간 북쪽 기압골 후면으로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고기압권의 맑은 날씨에서 건조하고 시원한 날씨가 나타난 것이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너무 더워 인내심이 요구됐던 날들이, 어느덧 가을인가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많이 바뀌었다. 동해로 물러간 한랭전선 후면으로 고기압이 한반도를 향해 확장하고 있다. 이 고기압은 점차 산둥반도쪽으로 남하하며 변질될 것이고, 건조했던 공기가 그 성질이 변하여 내륙으로 안개를 발생시킬 가능성은 높아진다. 인천, 김포, 청주 공항 등이 내일은 7마일의 시정예보를 내고 있지만, 김포공항에선 내일 모레 새벽 시정이 3마일 미만으로 떨어질 것으로 보고있다. 보통 30시간 ..

바. 기상/바.4 인공지능 2017. 8. 30. 00:35

비행 중 난기류: 예측할 수 없는 것을 예측한다

우리는 최근 항공승객들이 메이저급 항공사들에게 갖고 있는 최근의 반응에 대해서 알고 있다. 소셜미디어, 빠르게 전파되는 뉴스 그리고 신경질적인 대중들의 의견들이 넘치는 오늘날, 항공사는 초연결사회 내에서 그들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해 매우 신경써야 한다. 난기류는 승객들에게 멀미, 기내 공포증을 주게하는 변수 중에 하나이고 동시에 경고가 없다면 조종사나 승객들에게 매우 위험한 존재이기도 하다. 사실 무엇보다도 난기류는 항공사들이 항공기 데미지, 기술적 점검 그리고 승객들의 지연과 관련된 이슈에 매우 많은 비용을 치루게 하고 있다. 몇몇의 항공사들이 주장하기를 더 좋은 준비방법은 없다고 하지만, The Weather Company의 생각은 다르다. 그들은 30년 이상 항공사와 파트너십을 맺으면서, ..

바. 기상/바.2. 넓게 보기 2017. 7. 31. 18:02

왜 일기예보는 자주 틀리는가? (Why weather forecasts are so often wrong)

* 아래 기사는 The Economist 2016년 6월 19일 기사입니다.원제 : Why weather forecasts are so often wrong (Jun 19th 2016 by A.A.K) 기상학은 다른 소수의 직업들처럼 비판과 조크를 불러일으킨다. 때때로 이에 대한 연구들은 유머를 가져온다. 어떤 연구에서는 캔자스에 있는 TV 기상학자가 100% 강우의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지만, 실제로는 예보기간의 1/3정도는 전혀 비가 오지 않았었다. 예보관들에 대한 불신과 관련하여 입증되지 않은 다른 이야기들도 있다. 2009년 강한 비가 영국 기상청의 바베큐 파티를 망쳤다는 말이 있다. 작년 1월에는 미국 기상학자들은 기록적인 눈보라가 오지 않은 것에 대해서 트위터를 통해 진심으로 사과했다. 왜 기..

바. 기상/바.2. 넓게 보기 2017. 5. 13. 01:41

기상청이 날씨터치 서비스를 시작했다. 날씨콘텐츠는 앞으로 어느 방향으로 가는게 좋을까?

평소에 기상과 사람 그 사이의 교집합에 관심이 많다. 기상정보를 어떻게 잘 전달할 것이냐. 그것이 고객이 기상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이냐로 귀결될 것이다. 최근 17년 4월 24일부터 기상청에서 날씨터치를 시행한다는 보도자료를 봤다. 간단히 말해 예보의 원인과 변동성을 이야기해주는 예보해설 서비스다. 이러한 서비스는 세 가지로 나뉘는데 :날씨원인위험기상 가능성예보변동 가능성이 세 가지는 균형을 잘 이루고 있다고 생각한다. 우선 날씨의 원인을 노멀하게 설명한 후 +값으로 더 튈 가능성인 '위험기상 가능성', 그리고 오히려 더 -값으로 줄어들 가능성인 '예보변동 가능성'으로 구성함으로써, 제로섬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기존에는 고객이 예보결과만 취득하는 것이었다면, 이번 서비스를 통해 날씨를 바라보는 폭을..

바. 기상/바.2. 넓게 보기 2017. 4. 25. 20:09

내 위치의 기상실황을 실시간 확인한다? 더 나아가 초단기 예보를 제공하는 건 어떨까?

초단기예보에 관심이 많다. 개인적으로 생각해볼 때 초단기예보는 생활기상보다는 항공기상분야에서 수요가 더 높을 것이다. 항공기의 이착륙은 짧은 순간에 이뤄지기 때문에, 풍속 및 시정에서의 약간의 차이가 큰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하나의 악기상 현상이 하나의 공항에서 나타나고 있어도, A항공사는 착륙하고 B항공사는 Missed approach로 Go around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지난 3월 말, 기상청은 실시간 실황을 10분 마다 서비스하기로 결정했다. 기존 1시간 간격에서 1/6으로 줄어든 것이다. 반가운 소식이지만 아쉬운 부분도 있다. 사실 고객이 더 관심있는 것은 현재가 아니라 미래다. 내가 앞으로 무엇을 입고, 먹고 또는 어디로 갈 것인가에 대해 판단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1시간 뒤의 예보가 필요..

바. 기상/바.2. 넓게 보기 2017. 4. 20. 20:42

제주공항의 윈드시어 경보와 LLWAS 저층바람시어장치 (Low level Windshear Alert System)

현재 제주공항(RKPC)으로 윈드시어 경보가 4일 2056~5일 0900Z 발효되었다. 항공기가 Climb out하는 부분과 Approach하는 부분에서 관측이 되고 있다. 현재 METAR는 : METAR RKPC 050300Z 19019G31KT 160V240 9999 -RA SCT040 OVC080 19/11 Q1017 WS R07 R25 NOSIG= 그리고 TAF는 : TAF RKPC 042300Z 0500/0606 19015G25KT 4200 -RA FEW010 BKN025 OVC080 TX19/0505Z TN16/0521Z TX19/0605Z TEMPO 0512/0516 20025G35KT BECMG 0516/0517 23025G35KT TEMPO 0521/0524 2800= 현재 바람은 더욱 ..

바. 기상/바.2. 넓게 보기 2017. 4. 5. 11:5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Wiki(m)pedia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