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Decode TAF] 2017년 3월 25일 03시 제주 공항 (CJU/RKPC)

케이스 스터디

by 침대 맡 노트 2017. 3. 25. 01:52

본문



* 제주공항 TAF를 Decode해서 왜 그렇게 했는지 개략적으로 추론해보는 것이 취지입니다. 실제 예보관들은 훨씬 복잡한 스킬들을 사용합니다. 저와 다른 생각이 있으신 분들은 공유 부탁드립니다. 같이 배워가요. 



Summary

제주공항은 새벽에 비가 시작되어 점심시간 이후에 비가 그치겠고, 밤에는 북서풍이 시작되겠음.




METARMETAR RKPC 241600Z 11002KT 9999 SCT030 OVC110 11/04 Q1019 NOSIG=




TAF


  • 현재 새벽1시 제주공항은 110도 방향으로 2노트의 바람이 불고 있으며
  • 시정은 7마일로 좋고
  • 하늘상태는 11000 ft 에 현저히 구름이 위치하고 있다 




    TAF RKPC 241700Z 2418/2524 09006KT 7000 -RA FEW010 BKN030 OVC100
    TN09/2421Z TX11/2505Z TN07/2521Z
    BECMG 2504/2505 05006KT NSW
    BECMG 2512/2513 34007KT SCT030 BKN150=

  • 앞으로 제주공항은 새벽 3시부터 동풍과 함께 비가 시작되어 3000ft의 하층운이 분포하겠으며
  • 25일 13시에서 14시 사이에 50% 이상의 확률로 북동풍이 불며 날씨가 좋아지겠다.
  • 저녁 21시에는 북서풍이 불며 15000ft의 중층운이 유입되겠다 



  • 24일 21시 분석일기도

  • 발해만 북서쪽으로 차가운 핵(Cold core)를 가진 상층저기압이 천천히 한반도 상으로 유입되고 있다. 

  • 앞으로 이틀간의 예보에 눈여겨 봐야하는 인자이다.



  • 25일 00시. 

  • 동중국해 (대만 북동쪽)에 위치한 저기압이 제주공항까지 세력을 미치며 제주공항으로 110도 방향을 바람을 야기시키고 있다. 

  • 재밌는건 발해만쪽에 주변 일기도 기호들을 통해 박무와 함께 저기압성 회전을 보이는 뚜렷하지 않은 저기압이 분석되며, 상층의 도움을 받아 슬슬 시동을 걸고 있다. 

  • 서해상의 바람장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앞으로 한반도 상으로 나타날 강수에 대한 견해 차이가 발생할 것이다.




  • 25일 03시 예상일기도. 

  • 제주공항지역으로 강수역이 영향을 미치고 있고, 발해만 부근에서도 강수를 모의하고 있다. 

  • 몽골지역에 중심을 둔 고기압이 밀어주는 cool 한 공기를 후면에 받으며, 동시에 cold core를 동반한 상층 저기압의 도움을 받고 있으리라. 

  • 반면 제주도 남쪽의 저기압을 몽골지역에 위치한 고기압이 보내주는 상대적으로 cold한 공기와 저위도에서 끌어올리는 수증기가 만나 넓은 지역으로 강수를 모의할 것이다.


  • 25일 12시 상층(5.5km)의 상대와도 예상일기도. 

  • 발해만상공으로 강한 와도구역을 예상하고 있다



  • 25일 12시 (위와 시간 동일) 지상 예상일기도. 

  • 발해만 상의 강수(1번)와 한반도 상의 강수(2번)는 다르게 봐야할 것이다. 제주남쪽 저기압(3번)도 마찬가지다.


  • 25일 21시 상층 상대와도 예상일기도

  • 와도구역은 좀 더 동진하여 군산상공에 위치하고 있고 이는 한반도 상의 강수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다.



  • 25일 21시 (위와 시간 동일) 예상 지상일기도

  • 여전히 한반도 상으로는 강수구역이 위치하고 있다.






예상질문

  1. cold core를 동반한 상층 기압골은 어떻게 형성 된 걸까. 이러한 상층와도를 개략적으로 예측하려면 어떤 자료를 봐야할까?
  2. 상층 저기압이 지상저기압을 야기시키는 메커니즘은 어떻게 될까? PVA말고 더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은?
  3. Deformation zone으로 설명할 수 있는건 없을까? 와도구역 분석을 위해 수증기영상을 활용할 수는?
  4. 동중국해의 저기압은 왜 생기는 것일까?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