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Decode TAF] 2017년 3월 21일 21시 제주 공항 (CJU/RKPC)

케이스 스터디

by 침대 맡 노트 2017. 3. 22. 00:32

본문



* 제주공항 TAF를 Decode해서 왜 그렇게 했는지 개략적으로 추론해보는 것이 취지입니다. 실제 예보관들은 훨씬 복잡한 스킬들을 사용합니다.


METARMETAR RKPC 211500Z 01005KT 280V050 CAVOK 07/M03 Q1023 NOSIG=

제주공항은 24시 자정 현재

10도 방향으로 5노트의 바람이 불고 있으며, 바람 방향은 280도~50도 사이 variable[각주:1]하게 불고 있음

Ceiling and Visibility  are OK (시정 10km 이상, 5000ft 이하 구름이 없으며, 특이기상 없음)

온도는 영상 7도, 이슬점 온도는 영하 3도

QNH는 1023이다



TAF RKPC 211100Z 2112/2218 35008KT CAVOK

TN06/2121Z TX12/2206Z

BECMG 2123/2124 05007KT
BECMG 2211/2212 17005KT 7000 SCT030 BKN120
BECMG 2217/2218 09006KT -RA FEW010 BKN025 OVC100=


앞으로 ...

  • 북풍~북동풍 계열의 바람은 점차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동풍 내지 남동풍으로 바뀔 것이고 (남쪽 기압골의 유입을 시사)
  • 시정은 다소 떨어져 7000m를 보일 것이며 
  • 22일 21시 이후에는 12000ft의 중층운이 유입되다가, 새벽 2시에서 3시 사이에 50% 이상의 확률로 비가 시작되어 구름은 2500ft 하층운이 유입될 것이다 


이유는 ...



  • 서해상에는 고기압이 버텨주면서 남쪽 기압골이 제주 남해상으로 통과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바람도 북풍계열에서 동풍 내지 남동풍 계열로 바뀔 것이다

  • 시정도 습한 공기 유입으로 다소 떨어져 9999m가 아닌 7000m로 예상했으며, 

  • 700hPa 습수모델(중하층 대기가 얼마나 습한지 척도)에는 21시 이후 점차 습수가 유입되고 있는 것을 토대로 중하층의 유입을 추측함(실제로 비구름도 중층운 이후 하층운이 유입됨)






  • 자정이 되면 강수가 유입되면서 바람은 고기압과 저기압 사이에서 동풍이 우세할 것이고

  • 강수가 강하지 않아 아직까진 시정저하 없이 약하게 비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함. 



지금까지 사용한 예보스킬은

  1. 고기압 영향권에서 남쪽 저기압이 통과할 때 바람은 북풍계열에서 동풍계열로 바뀐다. 특히 저기압과 고기압 사이에서는 동풍이 우세하다
  2. 강수는 중층운부터 유입되다가 하층운이 유입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래서 보통 10000~12000ft 구름이 유입되고 그 다음에 2500~3000ft 구름이 들어오며 강수가 시작된다. 강수가 강하면 구름 최저고도가 1500ft까지 떨어질 수 있다. 
  3. 강수가 시작되기 전에 대기가 습하여 시정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




예상 질문

  1. 고기압은 어떻게 서해상에서 버티고 있을 수 있는 것인가. 상층에서 이를 도와주는 녀석이 있다면 그 하강운동은 단순히 기압능 뿐인가
  2. 바람이 바뀌는 시점은 어떤 근거로 예측할 수 있을까(북풍에서 동풍으로)
  3. 서고 동저형태에서는 바람이 강한데, 북고남저 기압배치에서는 바람이 강하진 않은가?
  4. 강수 유입 시 10000ft 구름이 들어올지, 12000ft 구름이 들어올지 무엇으로 판단할 수 있는가 (디테일)
  5. 하층운이 들어올때 1500, 2500, 3000, 5000ft 구름을 분류해서 릴리즈 할 수 있는건 무엇이 근거인가
  6. 강수가 시작되기 전 시정이 다소 떨어질 수는 있는데, 그것이 7000m인지, 5000m인지 4800m인지 무엇을 보고 이야기 하는 것인가(항공기상업무메뉴얼에 나오는 시정의 기준들을 갖고  판단하는 것인가, 아니면 시정을 모의하는 수치모델을 따라가는 것인가. 객관적인 기준은 있는 것인가)


  1. 항공기상업무지침 3.6.1. 지상풍 관측과 통보에 따르면, 280V050을 쓰는 기준은 "관측하기 바로 전 10분 동안에 풍향이 60도 이상 180도 미만 변화하고 평균풍속이 3노트 이상일 때 사용한다." 만약 3노트 미만일 경우 VRB를 사용한다 (VRB02KT). 허나 가령 3노트 이상이며 풍향 변동이 180도 이상일 경우라도, 평균풍향의 관측이 불가능할 경우 VRB03KT라고 쓰기도 함. [본문으로]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