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화에 대한 인류의 관심은 뜨겁습니다. 최근에는 북극지역에서 열섬효과가 발생하여 온난화가 더욱 더 가속화 될 것이라는 기사도 나왔네요. 온난화는 곧 기상이변으로 이어질 공산이 큰데요. 더욱 더 기존과 다른 날씨패턴이 나타난다면, 항공사는 항공기상예보와 관련된 전문인력이 더 필요하게 되겠지요. 그만큼 기상이 앞으로 가질 사회적인 역할은 클 것입니다.
이 기사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북극권 지역의 도시화로 열섬이 심해지고 있음
- 열섬이 심해지면 북극의 얼음이 녹아 바다면적이 넓어지고, 바다면적이 넓어지면 더 많은 에너지를 흡수하기 때문에 온난화 가속 우려됨
- 이는 온난화를 20~30% 가속화 시킬 것으로 예상 됨.
나만 궁금한가. 항공기상 중 BR, GR, GS가 무엇의 약자인지? (0) | 2016.03.27 |
---|---|
아시아나항공이 에어서울을 9월에 출범시킬 예정이랍니다. (0) | 2016.03.27 |
Towering cumulus and Cumulonimbus (0) | 2016.03.25 |
2016년 3월 24일. 고기압이 남동진하며 두 축으로 갈라져 내륙으로도 동풍을 유도함. 이로인해 상대적으로 저기압이 남부지역에 형성됨. (0) | 2016.03.24 |
2016년 3월 23일 세계 기상의 날. 기압계 느린 가운데 대륙성 고기압 영향권. 동풍 영향으로 동쪽지역은 비교적 불안정 상태. 북서풍 바람으로 제주공항 바람 모니터링 필요. (0) | 2016.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