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제주 서귀포 신산리 지역에 제 2공항 건설을 추진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유는 제주도를 향한 항공공급과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최근 저비용 항공사(LCC)들의 활성화, 중국인들의 제주도 관광 증가가 그 일례입니다.
기존에 국토부는
총 3가지를 놓고 검토를 한 결과 합리적인 방안으로 제 2공항을 건설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1번의 경우 제주공항을 바다방향으로 대폭 확장해야 하는데, 대규모 바다매립이 불가피하여 해양환경이 훼손될 우려와 과다한 공사비(약 9조원)가 들 우려가 있습니다.
2번 또한 환경훼손이 크고 기존공항 폐쇄에 대해 제주도민들의 반발도 문제가 됐습니다.
따라서 기존의 제주공항은 그대로 운영하면서 신공항을 추가로 건설하는 방안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비교적 1,2번과 비교했을 때 환경훼손이 적고 상대적으로 공사비가 적게 들어갈 뿐만 아니라 (약 4조), 2개의 공항을 운영해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제 2공항의 입지로 검토된 신산의 경우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제주도 제 2공항은 2025년 이전에 개항할 수 있도록 추진 중에 있습니다.
운항관리에 있어서 기상파트는 얼마만큼의 비중을 차지하는가 (0) | 2016.02.07 |
---|---|
기상청의 영향기반의 예보를 보면서 (0) | 2016.02.02 |
국내 항공사 개론 (0) | 2015.12.12 |
운항관리사 자격증 개론 (0) | 2015.12.11 |
법정연료에 대해서 (0) | 2015.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