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기후변화와 제트기류, 그리고 운항에 미치는 영향

케이스 스터디

by 침대 맡 노트 2016. 4. 13. 20:55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트기류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제트기류는 항공업계에서 일하시는 분들이라면 익숙하실 겁니다. 일반인 분들도 가끔 겨울철 한파와 관련하여 뉴스에서 보셨을 겁니다. 제트기류는 간단하게 말해 상층에서 부는 강한 바람입니다. 그 원인은 적도와 극지방의 온도차라고 할 수 있죠. 제트기류는 기상현상의 큰 어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트기류의 변동상태에 따라 지상기압계가 흔들리거든요. 보수적인 집안에선 어른이 수저를 들어야 아이들이 수저를 들듯이, 기상현상도 제트기류가 먼저 움직여야 그 하층에 저기압이든 고기압이 생깁니다. 

  • 세계 기상기구가 정의하고 있는 제트기류 내용 중에 풍속 극대가 하나 또는 둘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전에 항공기상 문제에서 '제트기류는 하나의 풍속극대를 가진 강한 바람대이다'라는 것이 있었는데 오답이었죠. 풍속극대를 여러곳에서 가질 수 있습니다.
  • 지구 자전축이 기울어진 관계로 여름철보다는 겨울철에 더 극지방~적도지방의 온도차가 큽니다. 제트기류의 강도 또한 겨울에 강하고 남하하는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 제트기류의 실제모습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납작만두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세로보다 가로가 더 큽니다. 풍속차도 수평, 수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shear가 발생하기 좋습니다.
  • 여객기의 보통 순항속도의 1/9이 제트기류의 속도기 때문에 무시할 수 없는 수준입니다. 
  • 참고로 하층제트란 개념도 재밌는데, 풍속은 20~25kt정도입니다. 여름철 호우를 불러일으키도 하는데 상층제트와 커플링되기도 합니다. 그럼 연직적으로 강하게 발달하죠. 



  • 기사를 읽다보니 지구온난화같은 기후변화가 제트기류의 강도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 제트기류 속도가 강해지면 운항속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고, 제트기류가 약해지면 극지방의 차가운 공기가 남하하여 한파 또는 폭설을 불러 일으킬 것입니다.
  • 한파의 경우 강한 바람을 동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착륙 시 측풍, 배풍, 윈드시어들에 대한 주의가 요망됩니다.


제트기류와 운항.pdf


제트기류와 운항.pptx


관련글 더보기